직업상담사 시험과목 분석해봤더니
직업상담사 시험과목 분석해봤더니
다른시험들도 그렇지만은
직업상담사 시험을 대비할때는
개별적인 여러가지 부분을
고민해보셔야 한답니다.
고민의 과정은 물론 고통스럽지만,
그래도 시작할때 고민끝에
어느정도 갖춰넣고 진행한다면
실제 학습과정은 좀더
쉽게 진행해나갈수가 있는데요.
그중에서도 직업상담사 시험과목은
무엇보다 먼저 기본적인
사항은 확인해보셔야 해요.
물론 확인하다보면
자신과 잘맞는 과목도있고,
성향상 잘맞지 않는 과목도
분명히 있을거예요.
그렇지만 시험은 한과목만
점수가 높다고해서 합격할수는 없어요.
여러과목들을 골고루 어느정도는
갖춰나야만 합격이 가능하기때문에
직업상담사 시험과목별로
학습방법을 파악하셔야 한답니다.
일단 직업상담사 필기 시험과목은
직업상담학,직업심리학,
직업정보론,노동시장론,노동관계법규
총 5과목으로 되어있는데요.
전반적으로 직업상담사 시험과목들은
현재 상담자의 문제를 확인하고
각각 현재상황에 맞는
표준화된 검사방법을 골라서
상담할수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는지.
그리고 현 노동시장과 직업들과
관계된 정보의 수집과
이를 분석가공이 가능한지에
대한 부분들을 평가하게 된답니다.
특히 직업심리학과 직업상담학의 경우
직업상담에 대한 기법과
심리검사에대한 부분을 중점으로
공부하셔야 합니다.
직업정보론의 경우는
공공직업정보 및 민간직업정보의
차이점이나 한국직업사전 부분에서
출제가 많이되고 있으니
반드시 해당부분을 점검해주세요.
특히 직업상담사 시험과목들이
종합되어있는 실기시험이
필기보다 더 어려운것으로 알려져있죠.
아무래도 주관식시험에
서술문제들까지 있기 때문인듯 한데요.
정확한 이해가 함께 하지않는다면
답을 전혀 적을수도 없기 때문에
깊이가 있는 학습이 요구된답니다.
일단은 어떤 문제들로 구성이 되고있는지
문제들을 먼저 확인해보면
이해가 빠르시지 않을까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