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기사 자격증 취득방법 알면 더쉽다
최근 AI가 심각해지면서
정말 축산분야의 위기라고 할정도로
다급해진것을 알수가 있는데요.
아무래도 축산업에 종사하시는
분들은 많지만,
정작 전문가들이 수가
비교적 적기 때문에 이런 문제들이
많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사실 이런때일수록 축산전문가의
가치가 더욱 올라갈수밖에
없는 상황인데요.
이 분야를 가장 대표하는 전문가는
누가뭐래도 축산기사 자격증을
갖고 계신 분들이라고 생각해요.
물론 기사자격증이기 때문에
합격까지의 길은
그리 녹록하지만은 않아요.
필기과목만해도 다섯과목이고
주관식시험과 작업형시험이
결합되어있는 실기시험까지도
합격해야하기 때문이죠.
각과목을 보면
필기
가축육종학,가축번식생리학,
가축사양학,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축산경영학 및 축산물 가공학
4과목으로 과목마다 20문제씩
2시간 반동안 시험이 치러지고요.
실기는
축산실무라는 이름으로
필답형 2시간에 작업형 4시간
총 6시간동안 시험을 치르게 된답니다.
이것만보더라도 결코 만만치
않다는 것을 알수가 있죠.
이는 실제로 축산기사 자격증 합격률을
보게되면 확연하게 느낄수가 있는데요.
최근 필기시험 합격률은 20~40%수준이고
실기의 경우는 50~60%대를
보여주고 있어요.
물론 봤을때는 실기 합격률이
무척 높다고 생각하실수도 있지만,
어디까지나 필기합격자분들을
대상으로 한 합격률이라는 것을
참고하셔야 할듯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단순히
전공으로 공부한 내용만으로
합격한다는건 사실상 어렵고
개별적인 학습이 필요할수밖에 없는데요.
아무래도 축산기사 학원자체는
찾기가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이 교재와 인강으로
병행학습하는게 일반적이더라구요.
아무래도 과목도 많고
익혀할 내용도 많다보니
한번쭉 보는것보다 강의를 여러번
보면서 담금질을 하는 방식의
학습이 축산기사 자격증 취득에
가장 효율성있는 학습이거든요.
일단 2017년에는
필기시험이 3월 5일과 9월 23일에
잡혀있기 때문에 일정 잘 확인하시고
좋은 강의와 교재 선택하셔서
반드시 올해 취득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