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7급한국사 유형알고 총력다하자

레보랜드 2017. 8. 11. 13:30




보통 9급과 7급한국사를 비교하면서

크게 다르지 않다라고 

얘기하시는 분들도 많이있죠.

실제로 출제범위자체는 차이없이

같은 범위에서 출제가 됩니다.


다만 체감자체는 7급이 더 높은데

조금더 깊이있는 출제가

되는 편이고 사료들 역시도

좀더 자세하고 또 지엽적인 내용들까지

출제되고 있기 때문이죠.







사실 그렇다보니 준비방법자체가

차이가 있지는 않습니다.

다만 좀더 많이 들여다봐야하고

시간도 더 많이 투자해야한다는 점이

다르다고 할까요?


일단 7급한국사 과목을 공부할때

암기를 기본으로 가져가셔야 합니다.

물론 이해도 중요하죠.

하지만 이해도 결국은 좀더 암기를

쉽고 유기적으로 할수있게 도와주는

하나의 도구이기 때문에 

중요한것입니다.

이해는 암기에 흐름을 가미해주는

유용한 도구입니다.







7급한국사 공부를 할때 

가장 주의해야 할 부분은 

방대함 자체에 너무 초점을 

맞추지 말아야 한다는 점이예요.


물론 범위가 방대하고 내용도 

많고 공부할것도 많죠.

하지만 그것을 모두 완벽하게 

익히겠다고 생각하는것도 

너무 큰 욕심이라고 할수있어요.






우리는 학문을 하기위한 공부가아닌

시험에서 더 좋은 점수를

득점하기 위한 공부를 

하고 있기 때문에 

철저하게 출제되고 있는 

범위와 내용을 분류해서 

그 부분들에 집중해야 해요.


공무원 시험은 어디까지나 

시간싸움이고 

불필요한것들에 시간을 소비하게되면

결국 그 싸움에서 패배할수밖에는

없는게 현실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걸 다 하려고하기보단

주요 범위와 내용을 걸러내고

반복학습하는것이 좀더 효율적이라

할수가 있어요.







참고로 작년 국가직 7급 한국사 

기준으로 출제유형을 살펴보게 되면

전체 20문제중에 

12문제가 사료제시형문제로

7,9급 가리지 않고

자료형문제가 주요 출제문제가

되어가고 있는것을 알수가 있어요.


이중

10문제는 원문사료제시형이고,

2문제는 응용사료제시형으로

출제가 되었는데요.

나머지 8문제는 간단한 형태의 문제인

단순문답형 문제였습니다.

크게 두가지 문제형태로

양분되는 느낌이랄까요.







또 하나의 특징은 여전히

정치사 위주의 출제가

되고 있지만 경제사 부분의

출제비중이 올랐다는 점입니다.


일단 7급한국사에서 경제사 파트의

문제가 늘어나게 되면

난이도 상승은 피할수 없게되는데요.

지난해 난이도도 그랬지만

앞으로 높은 난이도는 유지될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경제사 부분도

절대 소홀히 해서는 안될것입니다.





7급한국사 역대 출제문제모음 받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