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주택관리사 준비기간 보통 몇개월일까

레보랜드 2017. 8. 30. 21:44




예전부터 어른들이 하는 말씀중에 

무조건 책상앞에만 오래 앉아있다고

공부잘하는거 아니다

라는 말이있다.


무조건 오래만 앉아있고

시간만 버틴다고 공부잘하는건

아니라는 말이다.

어디까지나 집중력있게 공부해서

효율을 높이는게 중요하다는 말인데

그럼에도 시간이라는건

시험준비에 필수조건이다.







특히 주택관리사 준비기간은

어느정도 충족이 되어야 하는게 사실이다.


시험과목들이 대부분 법과목이고

그 내용들을 외우기도 해야하지만

이해하기도 하고

또 실제상황에 적용까지 할수있는

능력까지 갖춰야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대부분 주택관리사 수험생은

항상 시간이 부족하다.

대부분 직장생활을 하거나

무언가 일을 하면서 준비하는

경우가 대다수이기 때문이다.


그럼 주택관리사 준비기간은

어느정도로 걸리는 걸까?


사실 개개인의 능력에 따라

격차가 존재하긴 하지만

대체로 6개월에서 1년은 잡고

준비하는게 보통이라 보면된다.







물론 이것도 1일 학습시간 3시간정도

주말에는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그 외에도 틈틈히 시간이

날때마다 모바일강의나

정리노트등으로 빈틈없이

공부했을때 가능한 기간이다.


사실 이정도 학습시간이 가능하지않다면

불가피하게 주택관리사 준비기간은

2년계획으로 갈수밖에 없다.


일단 1차 합격이 되면

2차합격까지는 1년여의

유예기간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되도록이면 동차합격이

여러모로 맘편하다.







다만 문제가 되는건 

현 상황에서 너무 여유롭게

준비하고 몇년계획하에 진행하는건

그다지 좋은게 아니라는 거다.


이미 들어본 분들도 있겠지만

2020년부터 시험제도가 바뀐다.

바로 기존 평균 60점만

넘으면 누구라도 합격하는 

절대평가에서 성적순으로 

딱 몇명을 정해놓고 뽑는 

상대평가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일단 예상으로는

합격자수가 현재 합격자수의 

절반정도밖에는 되지 않을것으로 보인다.

대놓고 합격수를 줄이기위해

제도를 변경한다고 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제남은

2018년 2019년안에 합격해야하고

그러기위해서는 조금이라도

빨리 서둘러 준비하는게 

현명할것으로 보인다.

계속 시작을 늦추고 있었다면 말이다.




주택관리사 과년도문제 받고 풀어보자(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