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2017. 5. 14. 16:50




이제 막 주변 수험생분들

입장에서도 대략적인 감을 잡을수

있겠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는

손해평가사 시험.

이제 2017년으로 3회차 시험이

되었기 때문인데요.


첫시험에 이어서 작년 두번째 시험이

치러지면서 전체적인 윤곽은

어느정도 파악이 된듯 합니다.







현재 손해평가사 1차 2차 시험은

각각 1차 객관식, 2차 주관식 시험으로

치러지고 있는데요.


1차는 상법 보험편, 농어업재해보험법령,

농학개론 중 재배학 및 원예작물학

전부 3과목으로 총 75문제.


2차는 농작물재해보험 및 

가축재해보험의 이론과 실무,

농작물재해보험 및 가축재해보험

손해평가의 이론과 실무로

각 과목당 10문제씩

단답형과 서술형태의 문제가

혼합되어 있답니다.







아무래도 객관식과 

주관식의 본질적인 난이도 

차이가 큰 것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1차 손해평가사 합격률과

2차 합격률은 완전히 차이가 큽니다.


작년 2016년 손해평가사 합격률

추이를 보면

1차는 61% / 2차는 9%

비교가 되지않을 정도로

큰것을 알수가 있답니다.







일단 손해평가사 1차시험은

어느정도 암기방식의 학습과

기존 출제문제를 기반으로한

공부방법이라면 충분히

승부를 낼수가 있을정도예요.


하지만 손해평가사 2차 시험은

격이 좀 다르다고 

생각하셔야 합니다.







일단 단답형과 서술형 혼합이라고

말씀드리긴 했지만 

서술문항이 더 많은 편이고

그중에서도 계산문제가 

많기 때문에

이에대한 어려움을 토로하시더라구요.


1차 시험처럼 공식을 

달달 외운다고해서

응용되어 있는 문제에 적용시켜

풀이하기가 어렵기 때문인데요.







그렇기 때문에 어떤 응용문제가

나오더라도 적용할수있도록

공식에 대한 이해가 

확실하게 되어 있어야 합니다.

그럼 암기는 저절로 되구요.


그리고 가장 중요한 부분은

시험준비하며 문제를 풀때

눈으로만 암산해서 풀이하는

습관은 버리셔야 한다는 점입니다.

계산기를 앞에놓고

항상 직접 써가면서 답안을 도출하는

연습을 해주셔야 합니다.







특히 시험과 연관된 전공자가

 아니시라면 독학만으로는 

준비가 어려울수도 있으니

어느정도는 강의를 염두해두고

준비하시는것도 

좀더 쉽게 진행할수 있는 방법이

될수가 있겠네요.


1차도 마찬가지지만 손해평가사 2차도

이론을 정리하시면서

시험에 실제 나왔던 문제를

토대로 학습 진행해나가시면

어느정도는 준비에 대한 

해답이 나오실겁니다.









Posted by 레보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