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시공업체는 물론 건설과 관계된
업무를 하게 되신다면
어찌보면 필수화 되어가고 있는게
조경기사 자격증인데요.
이제는 모든 건설 업무에 조경공사가
빠져서는 안되는 필수가
되었기 때문이예요.
이 조경기사 시험은 매년
세차례나 시험이 있기 때문에
기회적인 측면에서는
여유롭다고 볼수있을것 같은데요.
다만 올해 2017년엔
지난달 5월 두번째 필기시험이지나고
2회 조경기사 실기시험과
이제 3회 일정이 남아있는 상황이예요.
정확히 중반부를 지나
후반부를 향해가는 듯 합니다.
참고로 마지막 세번째
필기시험은 9월 23일에
예정이 되어 있구요.
이렇게 기회가 많기는 하지만
사실 합격의 길은 멀기만한
대표적인 자격증이기도 해요.
보통 다른 자격증 시험들의 경우
실기합격률이 필기보다
높은편에 속하지만
조경기사 시험은 반대의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조경기시 실기 합격률은
다소 높은데 비해서 필기 합격이
상당히 통과하기 어려운 편인데요.
대체로 조경기사 필기 합격률이
10~20%선에서 결정이되고
실기는 40% 이상의 합격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결국 필기시험에서 기본이론
실력을 어떻게
체계적으로 정리하냐가
합격의 관건이 된다고 할수가 있네요.
최근 3년간 조경기사 실기 필기 합격률은
다음과 같답니다.
2014년 필기 합격률 6.1%, 실기 61.3%
2015년 필기 16.4%, 실기 38.8%
2016년 필기 17%, 실기 47.6%
2017년 1회 필기 12.77%
보통 필기와 실기의 합격률차는
두배정도이상 차이가
난다고 보시면 될듯 하네요.
사실 이 시험이 쉬운 시험이
아닌것만은 확실하지만,
이렇게 합격률이 저조한 큰 이유는
조금 가볍게 생각하고 접근하셨을
경우가 많다는 점때 문인데요.
아무래도 오랜기간 전공과목들로써
다뤄온 과목이거나
실제 실무를 경험하면서 다뤄본
내용이기 때문에
조금만 신경쓰면 되겠지라는
안일한 마음으로 도전하시는 수험생분들이
꽤 많은 편이거든요.
그러다보니 막상 시험을 보게되면
생각보다 어렵게 느끼고
합격점수에 도달하지 못하시는 듯합니다.
조경기사시험은 다른 기사시험과는 다르게
어설피 기출문제만 반복해서 풀이한다고
합격할수있는 시험이 절대
아니라는점 꼭 기억해주세요.
절대 문제도 그대로 출제되지 않구요.
되도록이면 학원강의나
상황이 여의치 않은경우에는
인강을 통해서 알고 있는 내용도
다시한번 정리하고,
미처 몰랐던 내용들도 확실하게
익혀나가신다면 좀더 주어진 시간에
효율적으로 학습 해나가실수 있으실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