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대부분 현장에서도 소방설비기사를
산업기사를 더 선호하기도 하기 때문에
어떻게서든 소방관련 업무를
하시는 분들에게 반드시 거쳐야할
자격증 시험이라고 할수가 있는데요.
전기와 기계 두분야가 있긴하지만
보통은 소방설비기사 전기를
먼저 취득하고 나서
추후에 필요에 따라서 기계 쪽도
취득하시는게 보통이더라구요.
일단 소방설비기사 전기 필기과목은
모두 네과목으로
소방원론, 소방관계법규,
소방전기일반,
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로
구성이 되어 있는데요.
과목별로 40점이상이고
전체 총점이 240점이 넘을경우에는
바로 합격이랍니다.
문제수로는 전체 80문제중
48문제를 맞춰야 하는 것이죠.
물론 생각하기에 따라서는
어렵지 않다고 생각할수도 있지만
소방원론은 그럭저럭 해볼만하지만
나머지 과목들에서는 과락으로인한
불합격도 많이 나오는 편이기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먼저 소방설비기사 전기 필기 첫과목인
소방원론의 경우
가장 쉬운과목에 속해요.
점수내기도 수월하죠.
그렇기에 최대한 점수를 만들어두셔야 합니다.
90점이상은 내다보시고 말이죠.
대체적으로 기존 출제되었던
문제들에서 많이 재출제되는 편이고,
위험물의 경우에는 소방관계법규에서도
또 나오기때문에 확실하게
해두면 많은 도움이 되실거예요.
두번째 공통과목은 소방관계법규는
분량이 많은 편이기때문에
공부하시면서 핵심정리를
해두시면서 양을 줄여나가시는게 좋구요.
마찬가지로 기존 기출내용들을
살펴보시면 큰 도움이 됩니다.
주로 직책관련 문제나
소방설비종류, 벌금관련법규문제,
안전관리자의 선임기간과 신고기간등은
중요하니 꼭 암기해두시기 바랍니다.
소방설비기사 필기에서
전기분야만의 과목인 소방전기일반은
아무래도 전공자가 아니시라면
당연히 어려우실수밖에 없어요.
일단 비전공자분이라면
인강등을 보면서 기초부터
잡는것밖에는 방법이 없답니다.
사실 전력공학, 전기기기, 회로이론, 제어공학등의
모든 내용이 축약되어서 나오기에
비전공자가 이 모든 내용을 다 이해하긴
사실상 어렵구요.
강의보면서 기초이론정도만
확실하게 다져놓고
강의에서 얘기하는 주요 출제경향들을
확실하게 파악한다음
다양한 문제를 풀이하면서
문제해결능력을 기르는것이
제일 좋은 방법이라 봅니다.
마지막 과목인
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는
자체로도 중요하지만
실기시험에도 연동되어 같은내용들이
출제되기 때문에 깊이있게 해주셔야 합니다.
그러다보니 되도록 강의보며 공부하는게
좀더 수월하실겁니다.
물론 과락도 많이 나오는 과목이기에
열심히 해두셔야 하구요.
대체로 전기시설들의 설치기준과
관련된 문제가 주로 출제되고 있으니
집중해서 공부해주시고
표의 경우도 무조건 위우시려면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문제를 풀면서 출제빈도가 높은
부분들을 외우는 방향으로
가시는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