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찌보면 전기 전자 분야에 속하는
여러 자격증이 있기는 하지만
가장 광범위하게 활용할수있는 자격증이라면
무선설비기사가 아닐까 싶은데요.
통신의 중요성은 말할수 없을정도이고
이제 거의 모든곳들에
통신설비 시스템들이 들어가고
무선설비화되면서 포함되지 않은
분야가 사실상 없다고 봐도
무방하기 때문이예요.
물론 무선설비기사 시험을 보실수있는
자격이 되는 분이라면
기본적인 전기 전자나 통신에
관한 기본기가 되시는 분들이지만
생각보다 합격이 녹록치 않은 시험이기도 합니다.
특히 회로를 설계하고 직접
조립해야하는 실기보다도
대부분 오히려 무선설비기사 필기를
더 어려워 하시는데요.
아무래도 좀더 학문적이고 이론적인
무선설비기사 필기가
직접 실행해야하는 실기보다
좀더 난해할수밖에 없고
이해의 폭이 넓어야 하기 때문이예요.
실제 합격률을 보더라도
평균적으로 실기는 50%이상 높게는
70%까지도 나오기도 하지만
필기의 경우 30% 정도 수준에 머물고 있어서
격차가 꽤 큰편입니다.
무선설비기사 필기 과목은
총 5과목으로 되어있어요.
디지털전자회로,
무선통신기기,
안테나공학,
무선통신시스템,
전자계산기 일반 및 무선설비기준 으로
문제는 한과목에 20문제씩
30분이 주어지기 때문에
2시반 30분동안 시험이 진행이됩니다.
아마도 전자기사 자격증을 이미 취득한
분이라고 한다면
디지털 전자회로 과목이나
전자계산기 일반 부분은 쉽게
진행해나가실수가 있으실거예요.
먼저 디지털전자회로는 크게 어렵지는
않은 과목에 속하는데요.
크게 아날로그소자나 논리회로등에 대한
내용들이 나온다고 보시면 됩니다.
계산문제도 있긴하지만
대체로 단답형 문제가 주를 이루고 있답니다.
무선통신기기는 아날로그,디지털간의
변복조 부분이나 위성통신에 대한
부분이 주로 출제가 된다고 보시면 되구요.
안테나공학은 안테나종류에대한
암기가 주를 이루는 과목이기에
생각보다 공부할 양도 많고
준비가 쉽지 않은 과목이랍니다.
무선통신시스템의 경우에는
이동통신, 근거리 무선통신등에 대한 이론들이
문제로 나오게 되고,
전자계산기 일반 및 무선설비 기준은
컴퓨터구조이론 부분들과
무선설비에 필요한 법에 대한 출제가
되고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듯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