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 지난 2017년 사회복지직 시험도
국가직과 함께 치러지게 되면서
혼란스러웠던 분들 많으실거예요.
항시 연초에 별도로 시험이있던 시험이
국가직과 함께 진행되다보니
기회도 한번줄고 출제문제의
변화도 예상이 됐기 때문인데요.
다행히도 지난 국가직9급 시험이
쉽게 출제가 되면서
그래도 큰 영향없이 무사히
시험을 마치셨던 분들이
대다수셨을것 같네요.
사실 공무원 시험준비의
가장 기본이되는게 기출문제 풀이인데요.
이렇게 일정이 다른 시험과
통합이 되다보면
기존의 문제가 아닌 다른 출제문제들을
살펴봐야하기 때문에
더욱 복잡함이 커지는게 사실입니다.
이번 2018년 시험부터는
이런 부분들이 더욱 가속화
될것으로 보이는데요.
2018년부터 완전하게
지방직9급시험안에 사회복지직이
포함되어 치러지기 때문이예요.
그러다보니 필기시험일을 비롯한
다른 일정들도 지차체에 맞춰서
동일하게 진행이 되죠.
여기에 무엇보다 큰 문제는
지방직9급 시험문제로 시험을
봐야한다는 점이랍니다.
이전 사회복지직 기출문제를 풀어보시고
지방직 문제를 풀어보시면
완전히 다른 느낌이란걸 아실거예요.
특히 난이도에 있어서
완전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요.
특히 지난 2017년의 경우
기존 합격컷이 직렬별로 10~20점정도
낮아질정도로 극상의 난이도를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사실 그렇기때문에 그에대한
대책마련이 절실한 상황인데요.
하지만 여전히 잘못생각하시고
이전 사회복지직 기출문제를 풀이하고
분석하시는 분들도 있더라구요.
물론 안풀어보는거보단
풀이하는게 당연히 좋아요.
특히 사회복지학개론과 같은 과목은
큰 난이도 차이가 없었기에
반드시 참고해서 풀어보셔야 한답니다.
하지만 중심을 이제는 지방직9급 기출문제로
옮겨가셔야 해요.
난이도가 다르다는건 출제의도나
유형자체도 많이 다르다는건데요.
변화된 문제에 대한 분석과
해결능력을 키우지 않으면
완벽한 준비를 할수가 없답니다.
그렇기에 꼭 지방직 문제를
중심으로 시험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단 서울시만은 자체출제문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서울시응시자분들은 기존 서울시9급
문제를 참고하셨으면 하네요.